[한국의 화석] 한국의 삼엽충 3D 복원
  • 작성자전체관리자
  • 작성일시2022/11/22 00:00
  • 조회수573

지질박물관은 한국의 화석을 주제로 우리나라 삼엽충의 구조와 생태를 체험할 수 있는 입체 교구를 개발 중입니다.

 

그 첫 번째로우리나라 삼엽충 중에서 가장 큰 종류에 속하는 바실리엘라를 입체적으로 복원하고, 3D교구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 삼엽충을 선택한 이유

한반도에서도 약 100년 전부터 100종이 넘는 삼엽충이 알려졌습니다덕분에 현재 우리나라의 많은 박물관과 과학관에도 우리나라의 다양한 삼엽충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전시된 삼엽충이 있는데바로 바실리엘라속(Genus Basiliella)의 삼엽충입니다주로 태백 지역과 영월 동부에서 산출 되는 오르도비스기 삼엽충으로서 우리나라의 삼엽충에서 가장 큰 종류 중 하나입니다이 삼엽충은 직운산층이라는 지층에서만 발견됩니다.

 

1934년 일본인 학자에 의해 직운산층에서 삼엽충완족동물연체동물극피동물필석 등 다양한 화석들이 최초로 보고되었습니다이 연구자는 삼엽충만 열다섯 종이 넘고 대부분이 신종이라고 생각했습니다그러나 1992년 우리나라 고생물학자들은 이 직운산층의 삼엽충들이 모두 다른 종은 아니며성장에 따라 약간 다른 모습을 보이거나 지층과 함께 변형된 결과일 뿐실제로는 단 네 개의 종으로 분류된다는 연구결과를 내놓았습니다그 네 종 중 두 종이 바실리엘라에 속하며아직까지 우리나라 이외 지역에서는 발견된 적이 없는 한반도의 고유종입니다.

직운산층의 삼엽충을 최초로 보고한 연구논문집의 표지. 하단에 발간일이 1934년 9월 25일로 적혀있음

<직운산층의 삼엽충을 최초로 보고한 연구논문집의 표지하단에 발간일이 1934년 9월 25일로 적혀있음>


직운산층의 바실리엘라 삼엽충은 바실리엘라 티피칼리스(Basiliella typicalis)와 바실리엘라 카와사키이(Basiliella kawasakii두 종이 있는데우리나라 주요 박물관과 과학관에 이 삼엽충들이 가장 많이 전시돼 친근하고 잘 알려져 있기에 3D 복원의 주인공으로 선정하였습니다.

 

바실리엘라의 3D 복원 과정

우리가 박물관에서 볼 수 있는 삼엽충 화석은 대부분 등껍데기입니다삼엽충이 죽은 뒤 다리와 더듬이처럼 인대나 근육으로 연결된 부분은 썩어 떨어져 나가고시간이 지나면 등껍데기도 마디마디 떨어져 흩어지기 때문에 온전한 삼엽충의 모습을 이해하기는 쉽지 않습니다지질박물관에 전시되고 보관된 바실리엘라의 실제 화석은 이렇습니다.

좌-약간 찌그러진 바실리엘라 전시 표본(9H121), 우-불완전하게 보존된 두 마리의 바실리엘라 표본(9H137)

<-약간 찌그러진 바실리엘라 전시 표본(9H121), -불완전하게 보존된 두 마리의 바실리엘라 표본(9H137)>


좌-태백시 구문소 상류에 드러난 직운산층, 우-좌측 사진 속 노두 표면에서 관찰되는 바실리엘라

<-태백시 구문소 상류에 드러난 직운산층-좌측 사진 속 노두 표면에서 관찰되는 바실리엘라>


최근 3D모델링이 산업문화학술계에 널리 확산되면서 개인들이 자신의 3D 창작물이나 자료를 인터넷에 공개하고 공유하는 일이 많아졌습니다그래서 여러 방면으로 참고할만한 바실리엘라 3D모델이나 3D스캔 자료를 찾아보았지만 발견할 수 없었습니다결국 바실리엘라가 수록된 다양한 논문의 화석 사진여러 박물관과 과학관에 전시된 화석 표본여러 삼엽충의 해부학적 연구 자료와 복원도를 비교하여이 삼엽충의 3D모델을 처음부터 독자개발해보기로 했습니다외골격의 봉합선몸마디 개수신체비율 등 바실리엘라만의 외형과 해부학적 특징을 재현하는 것은 물론삼엽충의 생태적 특징 중 하나인 몸말이(enrollment)가 가능하도록 관절구조까지 하나하나 3D모델링 SW로 만들어 나갔습니다. 

바실리엘라 3D 복원 초기 과정

<바실리엘라 3D 복원 초기 과정>


아쉽게도 바실리엘라 화석에는 다리나 더듬이가 보존된 것이 없어서바실리엘라와 친척뻘인 다른 삼엽충의 오랜 연구 결과들에서 힌트를 얻었습니다한편 삼엽충에게는 하이포스톰(hypostome)이라 부르는 주둥이 덮개가 있는데우리나라에서는 바실리엘라의 하이포스톰이 온전한 화석으로 알려진 적이 없어서 역시 다른 나라에서 보고된 바실리엘라 종의 하이포스톰을 참고하였습니다.

좌-바실리엘라 다리 복원의 힌트가 된 Isotelus maximus의 다리 스케치(스미소니언 박물관장 Charles D. Walcott의 1917년 논문에 수록), 우-다리와 하이포스톰이 복원된 중간 단계의 바실리엘라 3D 모델

<-바실리엘라 다리 복원의 힌트가 된 Isotelus maximus의 다리 스케치(스미소니언 박물관장 Charles D. Walcott의 1917년 논문에 수록), -다리와 하이포스톰이 복원된 중간 단계의 바실리엘라 3D 모델>


마지막 고민은 색깔이었습니다이 삼엽충 화석에는 등껍데기 표면에 특징적인 무늬나 장식이 없고충분히 자란 바실리엘라는 뾰족한 침도 없습니다아주 납작한 몸과 더불어 현재 해양 동물에서도 매끈한 외골격 표면은 퇴적물을 살짝 파고들어 숨기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첫인상만으로도 삼엽충을 떠올릴 만한 투구게(창게)’는 이런 매끈한 외골격을 가진 참고할만한 현생 바다 절지동물이었고마침내 바실리엘라의 뼈대에 색을 입힐 수 있었습니다. 

좌-현생 투구게(출처: wikimedia commons), 우-색상까지 복원된 바실리엘라
<-현생 투구게(출처: wikimedia commons), -색상까지 복원된 바실리엘라>

한 종의 공룡도 복원도가 제각각이듯한 종의 삼엽충도 여러 가지 모습으로 복원될 수 있습니다언젠가 바실리엘라를 더 깊이 연구하게 될 누군가는 또 다른 복원도를 내놓을지도 모릅니다.

 

3D 복원된 삼엽충 개요

바실리엘라 티피칼리스

Basiliella typicalis

 

분 류절지동물문 삼엽충강 아사푸스목 아사푸스과

산출지/지층강원도 태백영월지역의 직운산층

생존 시기고생대 오르도비스기(약 4억 6천 만 년 전)

식 성퇴적물 섭식

특 징:

- 1934년 태백 지역에서 최초로 발견되어 보고된 한반도 고유 삼엽충

우리나라의 삼엽충 중 가장 큰 종류에 속하며몸길이 최대 약 20cm

부드러운 펄 아래 숨거나쥐며느리처럼 몸을 말아 천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함

 

One of the largest trilobite species of Korea

Basiliella typicalis (Order Asaphida)

 

Locality: The Jigunsan Formation in Taebaek and Yeongwol areas, Gangwondo-Province

Age: Middle Ordovician, Paleozoic (about 460 million years ago)

Mode of life: Deposit feeder

Remarks

- endemic to the Korean Peninsula, first reported from Taebaek area in 1934

- maximum length about 20 cm

- hiding under soft mud or enrolling like a pill bug to protect itself

 

The Geological Museum is developing a three-dimensional educational tool as a series of to experience the structure and ecology of trilobites discovered in Korea, and this image is the result of a 3D restoration for the project.


등쪽 면, 배쪽면 복원도

몸말이 과정 복원도

반 쯤 몸을 접은 상태의 안쪽 모습 복원도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3D모델 영상으로 연결됩니다] 

삼엽충 이미지

첨부파일
  •   썸네일.jpg (138.37KB / 다운로드:81) 다운로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