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5건, 현재 페이지 1/1
-
[한국의 화석] 한국의 삼엽충 3D 복원 지질박물관은 ‘한국의 화석’을 주제로 우리나라 삼엽충의 구조와 생태를 체험할 수 있는 입체 교구를 개발 중입니다. 그 첫 번째로, 우리나라 삼엽충 중에서 가장 큰 종류에 속하는 바실리엘라를 입체적으로 복원하고, 3D교구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 삼엽충을 선택한 이유한반도에서도 약 100년 전부터 100종이 넘는 삼.. 등록일 : 2022/11/22 작성자 : 전체관리자 조회수 : 1222
-
[제1전시관] 무시무시한 턱의 판피어류, 둔클레오스테우스 턱 가동모형 전시 고생대 데본기의 최상위 포식자 둔클레오스테우스!이 막강한 턱을 지닌 판피어류는 척추동물의 진화과정을 다룰 때, 참으로 매력적인 대상입니다.척추동물의 조상은 고생대가 시작되던 전기캄브리아기에 이미 수많은 무척추동물들과 함께 등장했지만, 튼튼한 갑옷으로 무장한 삼엽충이나 바다전갈 같은 무척추동물의 서슬 퍼.. 등록일 : 2022/01/03 작성자 : 전체관리자 조회수 : 734
-
[제1전시관] 무척추동물의 진화의 큰 그림(캠브리아/고생대/현대 동물군) 무척추동물무척추동물이란 척추(등뼈)가 없는 동물들을 통칭하는 말로서 곤충, 새우, 조개, 오징어, 지렁이 등 수 많은 동물들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현재 살고 있는 동물 종의 90% 이상이 무척추동물이며, 화석 생물의 경우에도 대부분이 무척추동물이죠. 개미만 떠올려 봐도 알 수 있듯이, 종류도 많지만 마릿수도 척추동.. 등록일 : 2022/01/03 작성자 : 이승배 조회수 : 1302
-
[제2전시관] 시계 안의 지휘자, 석영 현대사회로 접어들면서 우리는 과거보다 더욱 정확한 시간을 볼 수 있게 되었는데, 여기에는 석영의 역할이 숨어있습니다. 석영이 시계의 부품으로 사용되기 이전에 사용되던 기계식시계는 수동 무브먼트와 자동 무브먼트로 나뉩니다. 기계식 수동 무브먼트는 태엽을 감아 작동하는 시계입니다. 기계식 자동 무브먼트는 태.. 등록일 : 2020/09/29 작성자 : 전체관리자 조회수 : 598
-
[중앙홀] '무서운 손' 데이노케이루스의 발견과 연구, 그리고 복원모형의 전시 스토리 위 사진을 클릭하시면, 유투브 링크로 연결됩니다. 등록일 : 2020/04/23 작성자 : 전체관리자 조회수 : 491